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1

줌 폰 무전기 (Push-To-Talk) 기능의 이해 줌 폰 무전기 (Push-To-Talk) 개요    PTT (Push-To-Talk)는 단어 그대로 '눌러서 말한다'라는 의미로 단방향 무선 통신입니다. 단방향 무선 통신은 한 번에 한 사람만 말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은 라디오처럼 듣기만 하다가 말을 해야 할 때 버튼을 눌러서 말합니다. 무전기는 별도의 중계 장비 없이 폭넓은 범위를 무선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보안, 건설, 물류, 유통 분야 동호회 및 이벤트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Push-To-Talk는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통신 방식이지만, 가장 큰 단점은 값비싼 무전기입니다.        따라서, 많은 제조사들이 값비싼 단말 없이 푸시 투 톡을 이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에서 앱으로 구현합니다. 줌 폰은 별도 비용 없이  Push-To-Talk 기능을 .. 2024. 6. 17.
줌 미팅 하이브리드 (Zoom Meeting Hybrid)의 이해 줌 미팅 하이브리드 개요   줌 미팅 하이브리드 (ZMH, Zoom Meeting Hybrid)는 고객의 네트워크에서 음성, 영상 및 화면 공유 트래픽을 처리하는 구축형 서버입니다. 금융 및 공공기관에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많이 요청합니다. 인터넷 회선 비용 절감   사내에서 접속하는 사용자의 트래픽은 인터넷을 경유하지 않고 줌 미팅 하이브리드 서버에 머무릅니다. 보안 강화   줌 미팅에서 사용하는 음성, 영상 그리고 화면 공유 트래픽이 ZMH 서버 내에 머물고 클라우드로 전달하지 않습니다.   줌 미팅 하이브리드 서버를 사용하는 기업은 줌 미팅을 예약할 때 두 가지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하이브리드 미팅 (Hybrid Meeting, SFU)   사내 참가자는 ZMH 서버로 접속하고, 사외 참가자.. 2024. 5. 23.
메타는 워크플레이스 서비스 단종하면서 줌 워크비보를 마이그레이션 파트너로 선정 메타(Meta)는 인스타그램(Instagram)과 페이스북(Facebook)을 서비스하는 기업입니다. 메타는 2016년 10월 페이스북의 업무용 앱인 워크플레이스 (Workplace)를 출시하였습니다. 워크플레이스는 페이스북의 핵심 기능인 좋아요, 뉴스피드, 그룹 및 일대일 채팅, 공유 기능, 동영상 라이브, 트랜딩 포스트 등을 활용한 기업용 페이스북입니다. 2017년 기준 워크플레이스는 30,000여 개의 기업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성장하였고, 2021년 기준 약 700만 명의 유료 가입자를 확보하였습니다.     하지만, 2024년 5월 15일 메타의 제품 관리 수석 이사인 미카 콜린스 (Micah Collins)는 "2025년 9월까지 워크플레이스를 서비스할 것이고, 2026년에 서비스를 완.. 2024. 5. 16.
줌 컨택 센터 (Zoom Contact Center)의 진화 인수합병을 통해 성장하는 시스코와 달리 줌(Zoom)은 직접 솔루션을 개발합니다. 직접 개발은 막대한 개발비용과 개발 기간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기존 제품과 통합하는 과정과 최적화 과정이 최소화합니다. 아래 그림은 줌이 현재 서비스하는 솔루션입니다. 워크비보 (Workvivo)를 제외한 나머지 솔루션은 직접 개발하였습니다. 특히, 2022년과 2023년에 줌은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급격하게 늘렸습니다. 그중 가장 강력한 서비스는 컨택 센터입니다.      2021년 9월 줌은 Five9과 인수합병을 통해 컨택 센터 시장에 진출하려고 하였지만 무산되었습니다. 줌은 직접 개발을 선택하였습니다. 시장은 많은 우려를 표시하였지만, 줌은 시장에 CCaaS (Contact Center as a Service) 시장에.. 2024. 4. 25.
줌 클라이언트 6.0 출시, 무엇이 달라지나 2024년 4월 15일부터 단계적으로 새로운 줌 클라이언트 6.0을 출시합니다. 지금까지 2020년 5월에 출시한 줌 클라이언트 5.0을 사용하였습니다. 줌 클라이언트 5.0은 5.17.11 버전까지 진화하면서 핵심 목표는 보안을 강화와 새로운 미팅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4년 만에 선보인 줌 클라이언트 6.0은 AI와 Zoom Workplace 브랜드를 통합한 버전입니다. 줌 클라이언트 6.0은 다음 3 가지를 강조합니다. 참여 (Engagement) - 새롭고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 (UI, User Interface) - 멀티 스피커 뷰 - AI 가 생성한 가상 배경 화면 및 아바타 협업 (Collaboration) - 미팅 중 공동 문서 작업 강화 - 화면 공유와 문서 공유 강화를 위한 멀티 쉐.. 2024. 4. 15.
줌 미팅에서 아바타 사용하기 (하) 줌은 2023년 초에 이미 아바타 기능을 출시하였습니다. 원격 미팅 참가자들은 자신의 모습을 카메라에 비추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줌 미팅에서 발표자가 아니라면 많은 참가자들이 카메라를 켜지 않습니다. 아바타 기능은 사람들이 카메라를 켜두게 만들었고, 좀 더 입체적인 화상 회의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줌은 아바타 기능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고, 이제 아바타를 참가자의 모습에 맞게 자동으로 생성하는 3단계에 이르렀습니다. 다음은 어떤 모습의 아바타가 출시될 지 모르지만, 지금은 경쟁사들보다 앞서 있습니다. 1) 동물 아바타 동물 아바타는 참가자의 눈과 입 모양 그리고 몸짓을 따라합니다. 줌 미팅 참가자들은 동물 아바타로 자신이 카메라 앞에서 발표자의 이야기레 귀를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2024. 4. 12.
SBC 구성하기 (상) - 줌 폰 클라우드 설정하기 줌 폰 구성 개요 SBC는 Session Border Controller의 약어입니다. SBC는 서로 다른 망을 연결하는 역할로 전화망과 인터넷망 또는 관리 주체가 다른 인터넷망을 서로 연결합니다. 줌 폰 서비스에서 SBC는 줌 폰 클라우드와 기존 전화 교환 시스템 (PBX, Private Branch Exchage)를 연결합니다. 외부로부터 온 통화는 전화 교환 시스템과 연결된 전화기와 줌 폰 클라이언트가 모두 받을 수 있도록 동시 링이 울립니다. 줌 클라이언트와 기존 전화기는 동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BC 설정 이번 글은 SBC를 구축하기 위한 줌 폰 클라우드 설정을 설명하고, SBC를 설정하는 부분은 하편에서 설명합니다. 1. SBC 관리 관리자 설정 페이지에 접속한 후 왼쪽 내비게.. 2024. 4. 9.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분리 판매에 대한 단상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분리 판매 2024년 4월 1일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Microsoft Office) 번들과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Teams)를 분리하기로 하였습니다. 2017년 마이크로소프트 팀즈를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번들에 무료로 통합하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피스 시장의 시장 점유율 90%를 적극 활용하여 자사의 10여 개 제품을 번들로 통합하여 서비스하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불공정 서비스 정책에 대한 이슈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었고, 마침내 작년 유럽에서 슬랙(Slack)이 제기한 반독점법 관련 소송에 따른 과징금 24억 달러를 부과하였습니다. 시장에서 참여자의 선의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유럽에서 시작된 반독점법 소송이 전세계로 번질 것을 염려하여 전 .. 2024. 4. 3.
줌과 어바이어, 전략적 파트너쉽을 맺다 2024년 3월 25일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줌(Zoom)과 어바이어(Avaya)는 전략적 파트십을 맺는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앞으로 어바이어는 기업용 커뮤니케이션 제품군에 줌 (Zoom Workplace)를 통합하기로 하였습니다. 어바이어는 클라우드 및 구축형 기반 솔루션에 줌 인터페이스를 추가할 것입니다. 어바이어 고객들은 기존 서비스의 중단 없이 줌 워크스페이스를 활용합니다. 어바이어 고객은 2024년 봄에 공개할 예정이므로 5월 전에 상세한 소식을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어바이어는 전통적인 기업용 전화 및 커뮤니케이션 솔루션 제조사입니다. 어바이어는 챕터 11 (Chapter 11) 파산 보호 신청을 두 번할 정도로 어려운 상태에 있었지만, 여전히 기업용 컨택센터와 인터넷 전화 (IP Tel.. 2024. 3. 26.
사례 소개 - 줌 미팅으로 진행한 제 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2024년 3월 18일부터 20일까지 3일간 대한민국 서울에서 제3차 민주주의 정상 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정상회의 주요 의제는 "인공지능 디지털 기술과 민주주의"이며, 전 세계 30여개국의 장관 및 차관급 대표와 시민사회, 업계, 학계 등 400여 명이 참석하였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전세계에서 원격으로 참석하는 대표들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줌 미팅(Zoom Meetings)을 선택하였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국제 행사에서 줌 미팅을 처음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전 세계의 정상들이 줌 미팅으로 만나 회의를 진행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앉아 있는 뒤편의 디스플레이에 줌 미팅에 접속한 전 세계 정상들이 보입니다. 그동안 국정원이 보안 우려 때문에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을 제한하였지만, 전세계.. 2024.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