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줌 아키텍처8

Zoom Network Connectivity Tool 활용하기 줌 클라이언트와 줌 데이터센터 간의 네트워크 연결 문제는 해결하기 난감합니다. 단순히 인터넷 회선의 문제로 치부하기에는 매우 복잡한 문제들이 얽혀 있습니다. 줌은 사용자들이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Network Connectivity Tool을 제공합니다. 이제 줌 관련 장애에 대해 줌 대시보드와 함께 새로운 강력한 툴이 생겼습니다. 줌 클라이언트 5.13.10 이상 버전 (2023년 2월 말 출시 버전)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키보드에서 칩니다. Windows: Ctrl+Alt+Shift+D macOS: Cmd+Option+Shift+D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 진단 창이 뜹니다. 진단 창에서 Network Test와 Connection Test를 수행합니다. Network Test.. 2023. 3. 2.
줌과 구글 웍스페이스간 연동 우리나라에서 구글 웍스페이스(Google Worksapce)를 사용하는 기업이 점차 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O365 문서와 호환하면서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구글 웍스페이스는 새롭게 영상 회의를 제공하는 구글 미트(Google Meet)와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글 보이스(Google Voice)가 있지만, 구글은 마이크로소프트와 마찬가지로 문서 작성에 집중하기 때문에 구글 미트와 구글 보이스의 기능과 성능에 많은 투자를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구글 웍스페이스를 쓰는 많은 기업들이 줌 미팅과 줌 폰을 대안으로 생각합니다. 구글 웍스페이스를 사용하면서 줌 미팅과 줌 폰을 어떻게 잘 사용하는 지를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Zoom for Google Workspace" 설치하기 구글 웍스페이스.. 2022. 10. 3.
줌 미팅이 사용하는 H.264 SVC의 이해 줌 미팅은 기본적으로 H.264 AVC (Advanced Video Coding)와 SVC(Scalable Video Coding)를 혼용합니다. H.264 AVC는 영상회의 단말에서 하나의 좋은 영상을 낮은 대역폭으로 보내는 방식이고, H.264 SVC는 영상회의 단말에서 저품질부터 고품질 영상까지 다수의 영상을 보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H.264 AVC는 미팅에 참가한 영상회의 단말의 종류와 성능이 동일한 영상회의에 적합하고, H.264 SVC는 영상회의 단말의 종류와 성능이 다양한 영상회의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은 360p도 충분하지만, 55"디스플레이를 가진 영상 단말은 720p 영상이 필요하고, 70" 디스플레이를 가진 영상 단말은 1080p 영상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수신 단.. 2022. 6. 19.
한국에 줌의 데이터센터가 없는 이유 필자는 SaaS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한국의 많은 기업들에 오랫동안 판매해 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품질에 문제가 있을 때마다 데이터센터가 한국에 있어야 한다는 단편적인 주장을 합니다. 일면 맞는 이야기지만, 데이터센터가 많은 미국과 일본의 사용자들도 품질에 대한 이슈를 많이 제기합니다. 광케이블에서 인터넷 트래픽은 빛의 속도로 전달하기 때문에 물리적 거리는 의미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일본 도쿄 데이터센터까지 물리적 거리는 약 1,100Km이지만, 광케이블에서 빛의 속도로 전달되는 인터넷 트래픽은 3ms (ms는 1/1000 초)만에 도착합니다. 트래픽을 전달하는 장비들의 처리 속도를 고려하더라도 30ms를 넘을 수 없습니다. 즉, 클라우드 서비스의 품질은 데이터센터의 위치가 아닌 인터넷.. 2022. 5. 22.
영상 회의 품질 개선의 이해 영상회의는 원격지에 떨어진 사람들이 비대면으로 회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영상회의에서 품질을 이야기할 때 고려되는 트래픽은 세 가지입니다. 음성 (Voice) 마이크에서 흡입한 음성을 송신 또는 수신합니다. 음성은 트래픽의 양이 항상 일정하고, 일반적으로 64 kbps 정도의 트래픽을 버스티 합니다. 3 가지 실시간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과정입니다. 영상 (Video) 카메라에 찍힌 영상을 송신 또는 수신합니다. 영상은 트래픽의 양이 일정하지 않고 버스티합니다. 영상 품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Full HD는 약 4 Mbps, HD는 약 2.6 Mbps, 고화질 영상은 600 kbps의 트래픽을 유발합니다. 콘텐츠 (Contents) PC의 화면을 송신 또는 수신합니다. 콘텐츠는 영상과 동일하게 .. 2022. 4. 19.
줌 클라우드의 이해 줌 클러스터 (Zoom Cluster) 줌 클러스터는 줌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논리적인 인스턴스입니다. 하나의 줌 클러스터는 줌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리적인 데이터 센터를 여러 개를 묶습니다. 줌은 무료 사용자 클러스터 와 유료 사용자 클러스터를 구분하고, 유료 사용자 클러스터는 여러 클러스터로 나눕니다. 줌 클러스터는 모든 줌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완전한 서비스 단위입니다. 현재 줌은 약 10개의 줌 클러스터를 관리합니다.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시간 서비스(Real-Time Service) :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 미팅 서비스 - 클라우드 녹화 서비스 - 게이트웨이 : 전화 및 H.323/SIP 단말 연동을 위한 프락시 비실시간 서비스 (Non-R.. 2021. 12. 16.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에 Zoom Meeting 통합 많은 기업에서 마이크로소프트 팀즈(Microsoft Teams)를 채팅 서비스로 사용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365는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가지는 솔루션이고,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365 사용자는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의 채탱 기능 및 영상 회의 기능을 기본으로 사용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협업 솔루션인 Lync와 Skype를 모두 단종하고 Teams로 단일화하면서 클라우드로 전환을 가속화하였습니다. 해외는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의 사용량이 높지만, 한국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주요 대기업 및 재벌 그룹들의 자회사마다 자체 채팅 솔루션과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채팅 솔루션이 안착하기 쉽지 않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팀즈를 도입할 경우 재벌 기업의 IT 자회사의 캐쉬카우인 채팅과 전.. 2021. 12. 10.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SLA 조건 SLA 조건 모든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은 1년 365일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중화와 삼중화 시스템을 갖춥니다. 하지만, 시스템 오류, 네트워크 장애, 클라이언트 문제, 사용자 오류 등으로 서비스 중단이 발생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모든 장애가 문제이지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 입장에서는 시스템의 심각한 장애가 문제입니다. 인터넷 연결 문제나 사용자의 사용 미숙 등의 문제까지 책임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든 서비스 제공업체는 자신들만의 SLA(서버스 레벨 협약, Service Level Agreement) 조건을 명시합니다. SLA는 서비스 제공업체와 서비스 사용자 간에 서비스 조건을 상호 약속하는 문서입니다. 주요 내용은 서비스 가용 시간 및 .. 2021. 12. 6.